합천서 삼국시대 대규모 공동묘지 발굴

페이지 정보

작성자한국장례신문 댓글 0건 조회 작성일 14-05-08 17:01

본문

경.jpg

경남 합천에서 삼국시대 대규모 공동묘지가 발견됐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동서문물연구원과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는 합천 생비량~쌍백 도로확장 구간에 있는 '합천 삼가고분군'을 발굴조사한 결과, 기원전후 무렵 목관묘(木棺墓) 10여 기와 4세기 후반 무렵 목곽묘(木槨墓) 수십기, 5세기 후반 무렵 석곽묘(石槨墓) 수십 기, 그리고 그 직후에 나타난 대형 봉토를 갖춘 고총(高塚) 30여 기를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가운데 대형 봉토분은 한 사람을 위한 매장시설도 있지만 대체로 원형이나 타원형 봉분 안에 돌을 상자처럼 짜서 만든 석곽(石槨) 2~7개를 안치해 벌집모양을 이룬 다곽식(多槨式) 고분으로 확인됐고, 대체로 구릉 정상부를 따라 발견됐다.

이 중에서도 동서문물연구원이 조사한 M8호분은 봉분 안에 석곽을 어떻게 배치했는지는 잘 보여준다. 이 무덤에서 발견된 석곽 7기는 모두가 긴 네모꼴인 세장방형(細長方形)이었고, 1ㆍ2ㆍ3ㆍ5ㆍ6호 석곽은 주축 방향이 남북이지만 4ㆍ7호묘는 그와 정반대였다.

역시 동서문물연구원이 조사해 석곽 5기가 발견된 M3호분에서는 1호 석곽에서 이파리 3개 모양의 도안을 넣은 둥근고리 갖춤 쇠칼인 삼엽문환두대도(三葉文環頭大刀)가 출토되기도 했다.

기원전후 무렵 목관묘는 조사결과 목관은 전부 없어졌지만, 흔적으로 보아 'ㅍ'자형으로 목관을 짠 것으로 추정되며, 수직에 가깝게 땅을 판 다음에 안치한 것으로 추정됐다.

목곽묘 중에서는 시신을 매장하는 시설과는 별도로 유물만은 넣어두는 공간인 부곽(副槨)을 마련한 이른바 주부곽식(主副槨式) 양식이 발견되기도 했다.

석곽묘는 경남발전연구원 조사구역에서만 모두 50여 기가 발견됐으므로 이 일대가 삼국시대에는 대규모 공동묘지였음을 알려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