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혼상제 의미 알면 지키기 쉽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한국장례신문 댓글 0건 조회 작성일 14-04-15 21:18

본문


‘사람의 한평생’ 펴낸 민속박물관 정종수 과장

“무엇이든 세월이 가면 변하게 마련입니다. 아니, 변하지 않으면 오히려 사라질지도 모르지요. 혼례나 상례도 마찬가지입니다. 그저 관행적으로 따르면 고리타분하게 느껴지지만, 의미를 알면 격식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시대에 맞게 바꾸어 가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아요. 이 책을 쓴 이유입니다.”
정종수(53)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장이 ‘사람의 한평생’(학고재 펴냄)을 내놓았다.‘민속으로 살핀 탄생에서 죽음까지’라는 부제처럼 한국인의 통과의례를 정리한 것이다.16일 창밖으로 인왕산이 내다보이는 명당자리인 경복궁 안 민속박물관 3층의 유물과학과 사무실에서 그를 만났다.

●본질 유지하면서 시대에 맞게 바꿔 가야

정 과장은 관혼상제를 다룬 그동안의 책들이 지나치게 딱딱한 규범만을 금과옥조인듯 담아 놓은 것이 불만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내용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읽히는 책을 쓰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민속학자로 25년 남짓 내공을 쌓고서야 이 책을 세상에 펼쳐놓을 수 있었던 까닭이다.

그는 조선시대 상장례가 전공이다. 수십년 동안 상갓집과 무덤만 찾아다니다 보니 주변에서는 그를 ‘저승사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처음에는 무턱대고 마을을 찾아갔지만, 요령이 생긴 다음에는 이장이나 지관에게 명함을 건네고는 초상이 나면 알려 달라고 부탁했다. 그만큼 ‘사람의 한평생’을 조사하고 기록한다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 책에는 민속학자로서 연구 결과는 물론 개인적인 경험담도 곳곳에 담겼다. 예를 들어 그는 가끔 지나가는 말로 부인에게 ‘유언’을 한다.‘부의금은 절대로 받지 말 것이며, 매장이고 납골이고 다 부질없는 일이니 화장해 당신 마음대로 뿌리고 싶은 곳에 뿌려 흔적을 남기지 말라.’고 하면 부인은 ‘아직도 살날이 창창한데 무슨 쓸데없는 소리냐.’고 손사래를 친다며 웃었다. 상장례를 공부하다 보니 나라가 온통 무덤이 돼 가는 땅 문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깨달을 수 있었다.

또 초상집에는 가려고 노력하지만, 결혼식은 봉투만 보낼 뿐 애써 찾아가지는 않는다고 했다.3만원,5만원을 넣어 결혼식장에 가서 5만원,6만원짜리 밥을 먹고 나면 폐만 끼칠 뿐이지 그게 어디 잔치를 십시일반 돕는 부조냐는 것이다. 젊은 사원이 사장이나 중역의 혼례나 상례에 눈치를 보며 봉투를 내미는 것도 ‘타 먹지 못하는 보험료’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관례 되살리면 어지러운 풍속 바로 설 것

제사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우리 역사에서 장남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은 장자상속이 일반화된 1700년대에 들어서서 시작된 것”이라면서 “최근에는 다시 조선 초기처럼 균등상속으로 돌아간 만큼 제사는 여자 형제를 포함한 형제 모두가 돌아가며 지내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형제간, 동서간 갈등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는 설날이나 추석에 관광지 호텔이나 콘도에서 차례를 지내는 데도 긍정적이다. 사당과 위패를 그린 조선시대의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도 타관에 나가 있을 때 제사를 지내기 위한 대용품이지 않느냐는 것. 이렇듯 제대로 알면 쉽게 바꿀 수 있지만, 모르면 바꾸고 싶어도 되지 않는다. 까다롭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본질에 충실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정 과장은 “관혼상제 가운데 사라져버린 관례(冠禮)는 반드시 되살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어른이 되었다고 주민등록증만 줄 것이 아니라 그에 따르는 책임도 함께 부여하는 관례를 범사회적으로 살려낸다면 어지러운 풍속도 바로 설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1만 5000원.